2025년 6월,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금이 마련되어 있는데요.
주거, 금융, 취업 등 여러 분야에서 청년들을 위한 제도들을 정리해 봤어요.
[목차]
주거 지원 제도
✅ 서울 청년 월세 지원
서울에 거주하는 청년층에게 일정 금액의 월세를 지원해 주거 수준을 높이고, 사회 진입을 돕는 사업이에요.
이 제도를 통해 향후 내 집 마련, 결혼, 출산 등 생애 다음 단계로의 성장을 지원해 줘요.
🔸 신청기간 : 2025년 6월
🔸 혜택 : 월 20만 원 월세 지원 (최대 12개월, 총 240만 원)
🔸 신청 방법 : 서울주거포털
🔸 대상 조건
- 만 19세 ~ 39세
- 1인 가구 무주택 청년
- 주민등록상 서울 거주
- 중위소득 150% 이하
- 보증금 8천만 원 이하, 월세 60만 원 이하
🔸 유의 사항
과거 '청년월세한 시 특별 지원금' 수급자는 신청할 수 없어요!
✅ 주거 안정 장학금
학업과 주거를 병행하는 학생들에게 지원해 주는 제도예요. 원거리 대학에 지학 중인 저소득층 학생을 대상으로 주거 비용을 월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해 줘요.
🔸 신청 기간 : 2025년 5월 22일 ~ 6월 23일
🔸 혜택 : 월 최대 20만 원
🔸 신청 방법 : 한국장학재단 누리집
🔸 대상 조건
- 만 39세 이하 미혼 청년
- 부모와 다른 주소지에서 대학 생활 중
- 성적 C학점 이상
-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
🔸주의 사항
- 본인 신청 외에 가구원 동의 및 서류 제출 필수
목돈 지원 제도
✅ 청년 도약 계좌
청년들이 공정하게 사회에 진입할 수 있도록,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제도예요.
청년 스스로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줘요.
🔸 신청 기간 : 2025년 6월 2일 ~ 6월 13일
🔸 혜택 : 월 70만 원 납입 시 5년 후 최대 5천만 원 수령 가능
🔸 신청 방법 : 은행 앱에서 신청
🔸 가입 조건 : 만 19세 ~ 34세 이하 청년
🔸 납입 금액 : 월 1천 원 ~ 최대 70만 원 (5년간)
🔸 달라진 점
- 월 최대 70만 원까지 납입 가능
- 납입액에 비례한 정부 기여금 확대
- 3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 혜택
- 성실 납입 시 신용점수 가산점 제공
✅ 희망 두 배 청년 통장 (서울시)
청년이 매월 저축하는 금액만큼 서울시가 동일한 금액을 100% 추가 적립해 주는 제도예요.
내 집 마련이나 결혼 자금 마련 등에 도움이 될 거예요.
🔸 신청 기간 : 2025년 6월 9일 ~ 6월 20일
🔸 혜택 : 월 15만 원씩 3년 납입 시 총 1,080만 원 수령
🔸 신청 방법 : 서울시 자산형성지원사업
🔸 선발인원 : 총 10,000명
🔸 대상 조건
- 만 18세 ~ 24세 이하
- 서울 거주
- 세전 월소득 255만 원 이하
- 현재 근로 중 또는 최근 1년 이내 근로 이력
- 부모 (기혼 시 배우자) 소득 연 1억 미만이며 재산 9억 미만
🔸 만기 수령액
- 2년 납입 시 최대 720만 원
- 3년 납입 시 최대 1,080만 원
✅ 청년 내일 채움공제
청년, 기업, 정부가 함께 적립하여 중소기업 청년 근로자의 초기 경력 형성을 돕는 제도예요.
기업은 인재를 확보하고, 청년은 일정 기간 근무 후 목돈을 마련할 수 있어 서로 윈윈이 되는 사업이에요.
🔸 신청 기간 : 정규직 취업 후 6개월 이내
🔸 혜택 : 2년 근속 시 총 1,200만 원 수령
🔸 신청 방법 : 청년공제 홈페이지
🔸 대상 조건
- 만 15세 ~ 34세 이하
- 50인 이하 중소기업 정규직 취업자
- 월 급여 총액 300만 원 이하
🔸 적립 방식
- 본인 월 12.5만 원
- 기업 지원 300만 원
- 정부 지원 600만 원
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고, 자산을 모으며, 사회에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청년 지원 제도들을 알아보았어요.
제도마다 지원 조건과 신청 시기가 다르니, 신청 전에 꼭 해당 기관의 홈페이지에서 정확한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
'꿀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세 계약 시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(0) | 2025.03.02 |
---|---|
AI 도구 추천: 일상에서 유용하게 사용하는 방법 (0) | 2025.03.01 |
소상공인이라면 배달비, 택배비 지원 신청하세요 (0) | 2025.02.27 |
배민클럽 해지 방법과 혜택 정리 (0) | 2025.02.26 |
사진 해상도 높이는 가장 간단한 방법 (0) | 2025.02.11 |
댓글